▶ 파이썬 함수
1)파이썬 함수의 구조
def 함수_이름 (매개변수):
수행할_문장1
수행할_문장2
...
def는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이며, 함수 이름은 함수를 만드는 사람이 임의로 만들 수 있다. 함수 이름 뒤 괄호 안의 매개변수는 이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되는 값을 받는 변수이다.
def add(a,b): <- 함수정의
return a+b <- 함수내용
print(add(a,b)) <- 함수호출
함수의이름은 add이고 입력 2개의 값을 받으며 리턴값(출력값)은 2개의 입력값을 더한 값이다.
a=3
b=4
c=add(a,b) -> 출력값 7
print(c)
2) print함수와 return함수의 차이
print : 화면에 바로 보여주는 출력용!
return : 값을 함수 밖으로 돌려줌!
ex1) def add(a,b) ex2) def add(a,b)
print( a+b) x=a+b
return x
x=add(3,4) y=add(3,4)
print(x) print(y)
이렇게 하면 7 그리고 none 이 출력된다. 이유는 add(3,4) 함수가 각각 a,b 로 이동하여 프린트함수로 작동해서 출력해주고, 프린트함수는 값이 남지않기 때문에 x라는 변수에 none값이 담겨서 print(x) 는 none 이출력된다. 반면에, return 함수는 add(3,4) 가 각각 a,b로 가게되고 return 함수에서 y로 값이 반환되어 print(y) 는 7로 값이 출력된다. 이렇게 return 함수는 변수에 저장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.
* 리턴값이 없는 함수 변수에 담으면 none
* 리턴값이 있는 함수 변수에 담으면 그 값을 사용 할 수 있음
* append(),extend(),sort()등은 리턴값이 없음!
▶ 오늘느낀점 return함수를 사용하면 값을 밖으로 보내주어 재사용 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프로그래밍 할때는 편할 것 같아 그점이 흥미로웠다. 이번주도 고생했다!!!!